이번 강좌에서는 여러 스케일의 종류 중 대중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'메이저 스케일'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앞의 강좌에서 알려 드렸듯이 스케일이란 '어떤 한 음을 기준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소리를 쌓아가는 것' 이며 소리를 쌓는 규칙에 따라 다른 이름을 붙입니다.
☞ 메이저 스케일이 구성되는 규칙은 '3~4음과 7~8음이 반음이고 다른 음은 온음 간격' 입니다.
(왜 이런 규칙이 생겼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더 깊이 들어가야 하므로 우선은 '메이저는 34 78' 이렇게 외워두세요.)
C Major scale 은 C D E F G A B C(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) 의 음으로 구성됩니다. |
C 를 근음(根音, root) 으로 하여 시작하기 때문에 C 메이저 스케일이라고 부릅니다.

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요 '학교종' 이 바로 C Major scale 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곡입니다.
학교종이 땡땡땡 어서 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
G G A A G G E G G E E D G G A A G G E G E D E C
이번에는 위에서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G Major scale 을 만들어 보겠습니다. |
스케일의 이름이 G Major 이니 G 음부터 시작하겠죠?
G 음부터 시작해서 '34 78 이 반음' 이라는 규칙을 적용하면 G A B C D E F# G 가 됩니다.
3~4 음인 B 와 C 는 반음이므로 그대로 두고 7~8음을 반음 간격으로 만들기 위해서 F 에 # 을 붙이면 F# 과 G 는 반음 간격이 되며, 자연스럽게 6~7음인 E 와 F# 도 온음 간격이 되므로 메이저 스케일의 규칙에 맞게 됩니다.

* 오늘의 숙제 : 모든 메이저 스케일을 오선지에 직접 그려보고 악기로 연주하면서 연습해 보세요.
'강좌 > 화성학·음악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성학 강의 08 - 조(key), 조성(tonality), 조표(key signature), 장조(Major key), 단조(minor key), 나란한조(relative key), 같은으뜸음조(parallel keys) (0) | 2022.01.06 |
---|---|
화성학 강좌 07 - 단음계(minor scale, 마이너 스케일) (0) | 2022.01.04 |
화성학 강의 05 - 음정 (2) | 2022.01.02 |
화성학 강좌 04 - 음계 (스케일, scale) (0) | 2021.12.25 |
화성학 강좌 03 - 악전 (0) | 2021.12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