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오토메이션(Automation)
오토메이션이란, 음악이 끝나갈 때 서서히 볼륨이 줄어들거나 연주 중에 기타의 주법을 바꾸는 등의 작업이
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.
cubase/nuendo 는 음악이 재생될 때 노브(knob)와 버튼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는 오토메이션 기능을 지원합니다.
① 페이드인/페이드아웃 : 개별 트랙 또는 소리의 최종 출력 단계인 'Stereo Out 트랙' 의 볼륨에 오토메이션을 적용하여 연출
② 패닝(panning) : 믹서의 패닝에 오토메이션을 적용하여 소리가 좌우로 움직이는 효과 연출
③ PC 리소스 절약 : 예를 들어, 아르페지오(Arpeggio)와 스트럼(Strum) 두 가지 주법을 표현하기 위해 기타 트랙을 두 개 만들어야 하는 경우 한 트랙만 만든 후 오토메이션을 이용하여 기타 VSTi 의 주법을 변경하면 PC 자원을 절약하며 아르페지오와 스트럼 두 가지 주법을 번갈아가면서 연주할 수 있습니다. (물론 두 가지 주법을 동시에 사용하려면 트랙은 두 개 만들어야겠지요.)
④ EQ 변경 : 음악 재생 시 보컬이나 악기의 EQ 를 서서히 변화시켜 독특한 음색 연출
⑤ Insert/Send : 이펙터 ON/OFF 및 각종 노브 조절
이처럼 오토메이션은 거의 모든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음악 작업 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강좌 > 작곡 프로그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큐베이스/누엔도 강좌 16 - 오디오(Audio) 파일 템포(Tempo, BPM) 알아내는 방법 Beat Calculator (0) | 2022.02.18 |
---|---|
큐베이스/누엔도 강좌 15 - 드럼(Drum) 입력하기, 드럼맵(DrumMap) 활용 (0) | 2022.02.18 |
큐베이스/누엔도 강좌 13 - 믹스다운(Mixdown, 시퀀서로 작업한 음악을 오디오 파일로 만들기) (0) | 2022.02.18 |
큐베이스/누엔도 강좌 12 - 이펙터(Effector) 의 종류와 사용 방법 : insert, send-return, 리버브, 딜레이, 컴프레서, 디스토션, EQ 등 (1) | 2022.02.17 |
큐베이스/누엔도 강의 11 - 오디오(Audio) 편집 (0) | 2022.02.17 |
댓글